반응형
SSH
: 원격 서버(컴퓨터)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암호화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.
- 사용법 : Terminal에서 ssh user@Host -p Port -i [개인 키 파일 경로] 명령어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.
여기서, user는 접속할 계정(사용자 이름)이며, Host는 접속하려는 원격 서버의 ip 또는 도메인이다. 특정 포트로 접속하고 싶은 경우 -p 옵션을 이용한다.
클라이언트가 접속하기 전에 사용자가 믿을 만 한지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. 2가지가 있다.
- 패스워드로 인증: ssh user@Host 명령어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한 뒤 원격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.
- 공개 키-개인 키 쌍으로 인증: ssh-keygen 명령어를 통해 원격 서버에 공개 키(public key)를 저장하고, 클라이언트가 개인 키(private key)를 지정하여 검증하여 접속할 수 있다. 여기서, 개인 키 파일을 이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할 때, -i 옵션을 이용한다.
- 개인 키-공개 키 쌍을 생성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아래 경로에 생성된다.
- ~/. ssh / id_rsa (개인 키)
- ~/. ssh / id_rsa.pub (공개 키)
- 개인 키-공개 키 쌍을 생성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아래 경로에 생성된다.
아래는 SSH 사용 예시이다.
1. 패스워드로 접속
Host: host3.dreamhack.games
Port: 11051/tcp → 31337/tcp
ssh with
id: bguser
pw: bgpw
ssh 서버에 대한 user와, password가 주어져 있으므로, 다음과 같이 원격 서버에 접속한다.
ssh bguser@host3.dreamhack.games -p 11051
이후에, password로 bgpw를 입력한다.
2. 개인 키로 접속
Host: host3.dreamhack.games
Port: 11051/tcp → 31337/tcp
ssh with id: bguser
ssh 서버에 대한 user만 주어져 있으므로 개인 키 파일을 다운을 해서 서버에 접속한다.
반응형
'해킹 > 해킹 기초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규 표현식(Regex) (0) | 2023.11.27 |
---|---|
도커(Docker)와 명령어 (0) | 2023.11.20 |
시스템 해킹(System Hacking)과 리버스 엔지니어링(Reverse Engineering), 웹 해킹(Web Hacking) (1) | 2023.11.19 |
리눅스 권한- 유저(user)와 그룹(group) (1) | 2023.11.19 |
리눅스 기본 명령어와 와일드 카드(wildcards), 리다이렉션(redirection), 파이프(pipe) (0) | 2023.11.18 |